NEWS
뉴스투데이 오전 7시 30분
930뉴스 오전 9시 30분
5시 뉴스와 경제 오후 4시 55분
뉴스데스크 오후 8시 20분
뉴스투데이 오전 7시 30분
930뉴스 오전 9시 30분
5시 뉴스와 경제 오후 4시 55분
뉴스데스크 오후 8시 20분
  • NEWS
  • 뉴스데스크
뉴스데스크

코로나 정점 시기의 재택 치료 관리 현주소는?

2022.03.24 19:25
263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 방송일자
    2022-03-24
[앵커]
도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정점을 찍으며
1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환자 병상이 부족하고,
의료 체계도 과부하에 걸리면서
재택치료 시스템이
잘 운영되는지도 걱정입니다.

특히, 혼자 집에 머물고 있는
1인 가구의 어려움이 적지 않은데,

실제로 재택 치료를 경험한
이아라 기자의 사례로 알아보겠습니다.

[리포트]

Q1. 1인 가구의 재택 치료는?

홀로 살다가 확진되면,
보건소에서 발송되는 문자메세지는 두 통.

격리 기간과 장소가 적힌 안내문과
역학조사 질문지입니다.

[c.g]증상을 느낀 시점과
동거인 유무 등을 적어서 제출하면,

기저질환이 있는 중환자가 아닌
대부분의 시민은
'일반관리군'으로 분류돼
혼자 집에 격리됩니다.

Q2. 약 처방이나 치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비대면으로 진료받을 수 있는
병원 목록을 찾을 수 있는데,

병원에 전화해 의사에게 증상을 말하면,
병원이 지정한 약국에서
약을 지어줍니다.

그러나, 약을 지은 이후가 문젭니다.

누군가가 약을 갖다줘야 하는데
1인가구는
그런 도움을 받기가 쉽지 않습니다.

보건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현실은 전혀 다릅니다.

[강릉시 **약국]
"저희가 약은 지어 놓는데, 가져가시는 거는 환자분이 알아서 가져가셔야 해요."

[강릉시 재택관리팀 담당자]
"(배달 도움처를 찾는 건) 본인이 하셔야 돼요. 아니면 지인한테 부탁하셔요."

Q3. 식사는 어떻게 해결하나?

알아서 해결해야 합니다.

배달 음식을 시켜 먹거나,
대형마트 장보기 배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 서울시와 원주시 등
일부 시군에선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1인가구에 대상으로 한
'생필품 꾸러미' 배송을 중단했습니다.

다행히 강릉시는 현재까지
배송 서비스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배송이 늦거나
아예 누락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앵커]

이아라 기자의 실례를 보셨는데요.

이 기자와 좀더 자세한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

건강은 좋아졌다고 알고 있는데,
격리 기간 동안 가장 어려웠던 점은 뭐였나요?

[기자]

목이 심하게 아픈 것도 힘들었지만,
비대면 진료 후에 약을 바로 받을 수 없는 게
가장 당황스러웠습니다.

이달 초 지침이 바뀌면서 직접
강릉시청과 보건소에 취재할 때 들었던 안내와 달리,

동거인이 없는 경우
약을 전달받을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강릉시청 재택관리팀과 보건소에서도
"알아서 약을 찾아가라"는 말만 반복했습니다.

저는 집 밖에 나갈 수 없는데도 말이죠.

[앵커]
그럼 치료약을 받을 방법이 없는 건가요?

[기자]
확진 판정 다음 날까지
집에 있는 감기약을 먹고 버티다,

전화로 비대면 진료를 받고,
결국 지인에게 약 배달을 부탁했습니다.

하지만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 목록을 찾는 것부터, 진료와 약 처방까지,
절차가 복잡했습니다.

제가 직접 겪으면서 느낀 건
스마트폰 활용에 익숙하고,
부탁할 지인이 있는 저도
이렇게 재택치료를 받는 게 쉽지 않은데,

양성 판정을 받은 고령의 홀몸 어르신들은 어떻게 버티고 있는지 걱정됐습니다.

다른 완치자의 이야기도 들어보시죠.

[재택치료 경험한 강릉 1인 가구]
'한 이틀 정도는 약 없이 있다가 못 참겠어서 비대면 진료 통해서 친구한테 부탁해서 약국에서 찾아서 문 앞에 놓고 가는 식으로.. 전화도 결국 없었고 생필품 키트도 결국 받지 못했어요.'

[앵커]

이런 상황이 강릉지역만의 문제인가요?

[기자]

저도 격리 기간 동안
이 생각을 정말 많이 했는데요.

도내 다른 지역에 사는 지인 등을 통해서도
비슷한 얘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보건소 업무가 가중돼
물리적으로 '어쩔 수 없는 상황'인건 맞습니다.

위험관리군에
의료인력을 집중해야 하기도 하고요.

그러나, 수도권의 경우를 보면,
이럴 때 이용할 수 있는 저렴한 '퀵서비스도 있고,
편의점에서 배송받을 수 있는 서비스도 있는데요.

우리 지역에서는 공공이나 민간, 어디에서도
이런 서비스를 찾기 힘들다는 게 아쉬웠습니다.

확진세가 정점을 지나는 시점에서
제 치료 사례를 되돌아보며,

재택 치료자들에게 정말 시급한 건 뭔지,
그리고 누락되는 곳은 없는지
보다 꼼꼼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보도국 이아라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