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 뉴스데스크
뉴스데스크
-
방송일자
2017-02-09
◀ANC▶
남)평창올림픽이 다가올수록 경기장 사후 활용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여)활용방안이 마련된 경기장이나 그렇지 않은 경기장이나 적자가 불가피해서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강화길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평창동계올림픽은 모두 13개 시설에서
치러집니다.
평창과 정선의 7개 경기장에서
설상 종목이 열리고,
강릉의 5개 경기장에서 빙상 종목이 열립니다.
그리고 평창에서 개·폐회식이 열립니다.
그런데 대회 이후 남는 경기장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두고
걱정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13개 시설 가운데 11개는
관리운영 주체와 활용방안이 마련됐습니다.
하지만 시설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운영비가 한 해 250억 원이 넘고,
운영 수익은 턱없이 적어
큰 폭의 적자가 예상됩니다.
◀INT▶(한국산업전략연구원)
더욱이 2개 경기장은
관리주체조차 정하지 못했습니다.
강원도는 정부가 나서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전문체육시설이어서
국가대표 훈련장 등 국가 차원의
관리와 운영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INT▶
국가 관리를 못 박기 위해서는
대선 공약으로 만드는 전략도 필요합니다.
지난 1월, 강원도를 찾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경기장 관리는
자치단체에 큰 부담을 안겨준다며
강원도의 입장을 두둔했습니다.
◀INT▶(문재인)
경기장이 평창올림픽의
의미있는 올림픽 유산으로 남을 지,
아니면 애물단지로 전락할 지,
경기장 사후 활용이 성공올림픽의 잣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강화길입니다.
남)평창올림픽이 다가올수록 경기장 사후 활용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여)활용방안이 마련된 경기장이나 그렇지 않은 경기장이나 적자가 불가피해서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강화길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평창동계올림픽은 모두 13개 시설에서
치러집니다.
평창과 정선의 7개 경기장에서
설상 종목이 열리고,
강릉의 5개 경기장에서 빙상 종목이 열립니다.
그리고 평창에서 개·폐회식이 열립니다.
그런데 대회 이후 남는 경기장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두고
걱정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13개 시설 가운데 11개는
관리운영 주체와 활용방안이 마련됐습니다.
하지만 시설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운영비가 한 해 250억 원이 넘고,
운영 수익은 턱없이 적어
큰 폭의 적자가 예상됩니다.
◀INT▶(한국산업전략연구원)
더욱이 2개 경기장은
관리주체조차 정하지 못했습니다.
강원도는 정부가 나서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전문체육시설이어서
국가대표 훈련장 등 국가 차원의
관리와 운영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INT▶
국가 관리를 못 박기 위해서는
대선 공약으로 만드는 전략도 필요합니다.
지난 1월, 강원도를 찾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경기장 관리는
자치단체에 큰 부담을 안겨준다며
강원도의 입장을 두둔했습니다.
◀INT▶(문재인)
경기장이 평창올림픽의
의미있는 올림픽 유산으로 남을 지,
아니면 애물단지로 전락할 지,
경기장 사후 활용이 성공올림픽의 잣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강화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