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 뉴스데스크
뉴스데스크
-
방송일자
2024-10-02
정부가 지난 3년 동안 30% 급등한
건설 공사비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민간 업체가 시멘트를 수입하면
이를 지원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시멘트 업계가 밀집한
강원 남부권과 충북지역 등에서는
기간산업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배연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3년 동안 건설 공사비가 30% 급등하자
정부가 비용 안정화 방안을 내놨습니다.
우선 연평균 8.5% 오른 공사비 상승률을
2026년까지 2% 내외로 안정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운 겁니다.
특히 주요 자재인 시멘트 가격 안정화에
정책 지원을 집중합니다.
"민간이 중국 등에서 시멘트 수입을
추진할 경우 절차를 단축하고 내륙 유통기지를 확보하는 등 지원에 나서기로 한 겁니다.
수입 시멘트의 품질 검사를 강화해
KS인증을 통해 엄격히 검증하겠다는 계획도
포함됐습니다."
우리나라 시멘트 가격은
지난 2020년 7월 톤 당 7만 5천 원에서
2년 뒤 9만 2천 원으로 뛰었고,
올해 7월 기준 11만 2천 원으로 급등했습니다.
건설 업계의 시멘트 가격 인하 요구가 커지자
정부가 시멘트 수입 카드를 꺼내며
시멘트 업계를 압박하고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현실적으로 품질과 가격을 고려했을 때
중국 시멘트의 수입 경로를
열어두겠다는 의미로도 풀이됩니다.
국내 시멘트 업계는
시멘트 수입은 결국 국가 기간 산업 붕괴를
초래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건설 경기 침체로
시멘트 출하가 줄고 재고가 느는 상황에서,
수입까지 한다면 업계가 지탱하지 못하고
줄도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시멘트 업계가 밀집한 강원 남부권은
시멘트 수입으로 인한 후폭풍으로
지역 기반 산업 타격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전억찬/강원경제인연합회장]
"시멘트가 팔리지 않아서 지금도 굉장히 힘든 걸로 알고 있어요. 중국산이 들어오게 되면은 지역 기업들은 지금 뭐 문 닫으라고 하는 거나 마찬가지 아니냐"
다만 정부가 시멘트를 포함한 주요 자재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자율 협의해
적정 가격을 찾을 수 있도록
'수급 안정화 협의체 운영'을 추진해
수입을 대신할 가격 조절의 여지도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MBC뉴스 배연환입니다. (영상취재 양성주)
건설 공사비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민간 업체가 시멘트를 수입하면
이를 지원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시멘트 업계가 밀집한
강원 남부권과 충북지역 등에서는
기간산업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배연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3년 동안 건설 공사비가 30% 급등하자
정부가 비용 안정화 방안을 내놨습니다.
우선 연평균 8.5% 오른 공사비 상승률을
2026년까지 2% 내외로 안정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운 겁니다.
특히 주요 자재인 시멘트 가격 안정화에
정책 지원을 집중합니다.
"민간이 중국 등에서 시멘트 수입을
추진할 경우 절차를 단축하고 내륙 유통기지를 확보하는 등 지원에 나서기로 한 겁니다.
수입 시멘트의 품질 검사를 강화해
KS인증을 통해 엄격히 검증하겠다는 계획도
포함됐습니다."
우리나라 시멘트 가격은
지난 2020년 7월 톤 당 7만 5천 원에서
2년 뒤 9만 2천 원으로 뛰었고,
올해 7월 기준 11만 2천 원으로 급등했습니다.
건설 업계의 시멘트 가격 인하 요구가 커지자
정부가 시멘트 수입 카드를 꺼내며
시멘트 업계를 압박하고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현실적으로 품질과 가격을 고려했을 때
중국 시멘트의 수입 경로를
열어두겠다는 의미로도 풀이됩니다.
국내 시멘트 업계는
시멘트 수입은 결국 국가 기간 산업 붕괴를
초래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건설 경기 침체로
시멘트 출하가 줄고 재고가 느는 상황에서,
수입까지 한다면 업계가 지탱하지 못하고
줄도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시멘트 업계가 밀집한 강원 남부권은
시멘트 수입으로 인한 후폭풍으로
지역 기반 산업 타격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전억찬/강원경제인연합회장]
"시멘트가 팔리지 않아서 지금도 굉장히 힘든 걸로 알고 있어요. 중국산이 들어오게 되면은 지역 기업들은 지금 뭐 문 닫으라고 하는 거나 마찬가지 아니냐"
다만 정부가 시멘트를 포함한 주요 자재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자율 협의해
적정 가격을 찾을 수 있도록
'수급 안정화 협의체 운영'을 추진해
수입을 대신할 가격 조절의 여지도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MBC뉴스 배연환입니다. (영상취재 양성주)